home HOME > NEWS > 전체

전체

끊이지 않는 불법 폐기물..처벌 강화해야

2020.06.30 20:52
올들어 잇따라 불이 난
군산의 공장 2곳에는 모두 몰려 버려진
폐기물이 쌓여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런 불법 폐기물을 치우는 책임을
몰래 버린 당사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나
지자체가 떠안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혜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익산의 한 공장 부지입니다.

큰 덩어리와 가루 형태의 플라스틱,
건축 석재에 곡물까지
각종 폐기물이 쌓여 있습니다.

2년 전 구리 가공 공장을 짓겠다며
땅을 빌린 임차인이 계약 보름 만에
버리고 간 겁니다.

[주혜인 기자]
이곳에 쌓여있는 폐기물은 7백에서 8백 톤으로 추정됩니다. 모두 치우는 데만 2억 원
이 들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처리 책임은
폐기물을 버린 임차인이 아닌
어이없게도 땅 주인이 떠안게 됐습니다.

[땅 주인]
정작 치워야 되는 건 저희가 아닌데 저희한테 치워야 할 책임의 의무가 있으니까 너무 억울하기도 하고...

얼마 전 불이 난 군산 국가산업단지의
공장 두 곳도 폐기물을 버린 공장 임차인이
잠적하면서 처리는 건물주의 몫이 됐습니다.
[CG IN]
현행법에 따라 폐기물 배출자가
도주하거나 처리 능력이 없을 경우
청결 유지의 책임을 물어
해당 토지나 건물 소유자가
처리해야 합니다.

이마저도 안 되면 급한대로
자치단체와 정부 예산을 들여 치운 뒤,

폐기물 배출자와 토지주, 건물주 등
관련자들에게 구상권을 청구하게 되는데,

사실상 모든 금액을 회수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유홍규/남원시 폐기물 자원담당 계장]
이 사람 앞으로 청구할 수 있는 재산이 있으면 다행인데 (재산이) 없는 경우도 있고 명의를 돌려서 회수를 못하게 하는 경우도 있고...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전북에서 발생한
불법 폐기물 투기 18건 가운데
투기 당사자가 폐기물을 치운 건
단 3건에 불과합니다.

무엇보다 폐기물 투기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김영찬/군산시 자원순환과 청소지도계장]
저희들이 고발을 해도 거의 대부분이 다 벌금으로 나오거든요. 이번에 폐기물 관리법이 일부 개정은 됐거든요. 그런데 그것도 그보다 (처벌이) 더 강해야 되지 않나...

폐기물 발생량은 늘고 있지만
처리시설 한계로 처리비용이 급등하는
구조를 악용해 조직적인 폐기물 투기가
성행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면서
치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JTV NEWS 주혜인입니다.
퍼가기
주혜인 기자 (hijoo@jtv.co.kr)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