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유치, 소통부재로 갈등 자초
전북자치도가 거의 20년 만에
올림픽 유치에 나섰지만, 본격적인 예선을
치르기도 전에 집안에서부터 잡음이 터져 나오고 있습니다.
사전에 도의회와 충분한 교감 없이
언론에 일방적으로 발표가 되면서,
도의원들이 반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김관영 지사가 뒤늦게 본회의장에서
비공개로 과정을 설명하며 몸을 낮췄지만
의원들의 공감을 이끌어내지는 못한 것
같습니다.
정원익 기자입니다.
전북자치도가 올림픽 유치를 검토하기
시작한 건 지난해 6월.
잼버리 실패로 해를 넘긴 유치 계획은
지난 7일 처음 공개됐습니다.
도의회는 하지만 도가 지난달 말에서야
상임위별로 유치 계획을 설명했다면서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않았습니다.
지난주 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도
이에 대한 의원들의 질타가 잇따랐습니다.
[박정규/
도의회 문화안전소방위원장(지난 13일) : 안 하는 것보다 뭔가 도전하는 것에 대해 굉장히 긍정적으로 생각해요. 하지만 모두가 동의할 수 있게끔 만드는 분위기도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거예요.]
해당 상임위의 출석 요구에
도지사가 응하지 않아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진 상황.
김 지사가 뒤늦게 본회의장을 찾아
소통 부족에 대한 유감의 뜻을 밝히고
20분가량 과정을 설명했습니다.
[김관영/도지사 :
세계 한인 비즈니스 대회가 성공적으로
끝난 이후에 이 부분을 논의해야 된다는 그런 속사정 때문에 조금 지연된 면이 있어서 의원님들께 양해를, 그런 부분을 좀 설명을 드리고.]
하지만 도지사의 방문 이후에도 도의회의
반응은 냉랭했습니다.
김관영 지사가 준비한 자료가
지난주 기자회견과 별반 다를 게 없었고
질문도 두 개밖에 받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서난이/전북자치도의회 대변인 :
알고 있던 내용과 다를 바 없는 형식적인 설명이었다는 점에 대해서는 매우 안타깝다. 의원들의 궁금증이 해소되기에는 턱없이 부족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예산안 심사에서도
도가 올림픽 유치 신청 납부금 5천만 원을 예비비로 낸 일이 도마에 오를 전망입니다.
도정의 양축이 힘을 모아도 모자랄 판에
집행부의 소통 부재가 불필요한 갈등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JTV뉴스 정원익입니다. (JTV 전주방송)
퍼가기
정원익 기자
(woos@jtv.co.kr)
댓글 0개
| 엮인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