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적률 완화해도... 건설업계는 '미지근'
활성화하기 위해 용적률을 완화하기로
했는데요
용적률이 늘어난 만큼
재개발 사업의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시장의 반응은 미지근합니다.
그 이유를 김진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전주의 한 재개발 사업 지역입니다.
이곳의 용적률은 250%이지만
앞으로 280%로 높아집니다.
김진형 기자 :
전주시가 재개발 재건축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용적률 등의 규제를 완화하는
도시 정비 기본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cg in) 제1종 일반주거지역의
용적률은 200%에서 230%로,
제2종 일반주거지역은 250%에서
280%까지 높아집니다.
또, 25층 이하인 층수 제한도 폐지됩니다.
cg out)
이런 내용의 도시 주거 환경 정비
기본계획은 이 달안에 고시될 예정입니다.
하지만, 부동산 업계는
자재비와 인건비 인상 등으로
공사비가 40%가량 올라, 용적률을 30%
높이는 것만으로 수익성을 맞추기는 쉽지
않다고 주장합니다.
[정비 사업 업체 관계자 :
일단 사업비가 너무 올라가지고 사업비 부담이 너무 커졌어요. 아무래도 재개발
재건축이 활성화되기는 단기간으로는
힘들지 않을까 싶어요.]
또, 용적률이 늘어나 도로와 공원 등의
기부채납 부담이 더 커졌고, 건설 경기
침체로 분양 전망도 불투명하다는 것입니다.
[전주시 담당자 :
저희는 어쨌든 사업주에게 사업성을 올려줄 테니까 그만큼의 공공기여를 해라라는 취지입니다.]
전주시는 지난해 상업지역에 들어서는
주상복합건물의 용적률을 높여주는 대신,
일정 비율 이상의 상가나 사무실을 짓도록 하는 용도 용적률제를 도입했다가
재개발 재건축 조합의 반발을
사기도 했습니다.
jtv 뉴스 김진형입니다.
(JTV 전주방송)
퍼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