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HOME > NEWS > 전체

전체

'동네 우체국' 절반이 사라진다

2020.02.13 01:00
우정사업본부가 경영합리화를 이유로 전국 6백 70여개 동네 우체국을 민간 위탁방식으로 전환할 계획입니다. 도내에서는 전체 동네 우체국의 절반인 42곳이 전환대상입니다. 그런데 이 경우 금융업무가 불가능해지고, 민간 위탁자가 없으면 문을 닫을 수밖에 없어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 하원호 기자입니다. 전주 구도심에 있는 우체국입니다. 4명의 직원들이 주민들의 우편과 택배, 금융업무를 처리합니다. 모바일이나 인터넷 뱅킹이 어려운 고령층에겐 꼭 필요한 곳이지만 조만간 문을 닫을 위기에 놓였습니다. 43:34- 오태일/전주시 진북동 "없던 것도 새로 갖다가 설치를 해야하는데 있는 기반조차 다른 곳으로 가버린다고 하면 말이 안되지. 나는 그렇게 생각해요." 우정사업본부가 직영하면서 우편과 금융업무를 처리하는 이런 동네 우체국을 창구국이라고 하는데 도내에는 85개가 있습니다. CG IN 그런데 우정사업본부가 적자폭을 줄이기 위해 앞으로 4년간, 도내 창구국 42곳을 민간에 위탁해 우편업무만 가능한 취급국으로 바꿀 계획입니다. 전북도청이나 전주시청 우체국처럼 건물을 빌려쓰고 있거나 우체국간 거리가 가까운 곳, 1개 면에 우체국이 두 개인 곳이 대상입니다. CG OUT 최문순/전북지방우정청 우정계획과장 "우편취급국을 개국을 해서 주민들이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그렇게 서비스를, 직영에서 위탁으로 전환을 하는 것입니다." 취급국은 우편서비스만 가능하고, 금융업무는 하지 않습니다. 우체국을 운영하겠다는 민간위탁자가 없으면 이마저도 불가능합니다. 우정사업본부 노조는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하는 조치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김환국/우정사업본부 공무원노조 전북본부장 "신분을 일일이 확인하고 금융업무를 봐야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부분들이 고객들이 불편을 겪는거구요." 우정사업본부는 지난해 우편분야에선 천 6백억 원의 적자가 났지만 예금과 보험 영업으로 7600억 원을 벌었습니다. 따라서 무작정 동네 우체국을 없애기 보다 금융사업을 통해 얻은 수익을 우편사업에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JTV NEWS 하원호입니다. @@@
퍼가기
하원호 기자 (hawh@jtv.co.kr)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