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월호 참사 11주기... 갈 길 먼 '안전사회'
11년이 됐습니다.
도내에서도 희생자를 추모하고
안전한 사회를 다짐하는 행사가 열렸는데요
참석자들은 세월호 참사의
책임자 처벌과 생명안전 기본법 제정을
촉구했습니다.
강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304명의 시간이 멈춘 지 벌써 11년,
날씨는 그날처럼 화창합니다.
2014년 4월 16일을 여전히 마음에
담고 있는 시민들은 분향소를 찾아
추모의 마음을 전해봅니다.
[조연구 / 광주광역시 광산구:
그때 이제 세월호 촛불 집회도 참석하고
했었거든요. 그래서 오늘 또 이날을
맞이해서 잠깐 들러서 잠시나마 분향을
좀 했습니다.]
[현장음: 세월호 관련 모든 정보를
공개하라! 공개하라! 공개하라!]
10년 넘게 풍남문에서 분향소를
지켜온 이들은 여전히 진상규명이라는
숙제가 남아있다고 말합니다.
(CG) 지난해 11월 목포해양심판원은
과적과 무리한 선박 개조로 인해 세월호가 침몰했고, 선원들이 적극적인 구조 조치를 하지 않아 피해가 더 커졌다고
판단했습니다.//
시민단체들은 사고 당일
박근혜 전 대통령의 7시간의 행적은 여전히 의문으로 남았고, 관련자 처벌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비판합니다.
[김재호 / 민족문제연구소 전북지부장:
지난 11년은 대통령을 위시한
정부와 정치권, 검사와 경찰 누구 하나
먼저 자신의 책임이라고 고백하지 않았으며
책임 회피에만 발버둥쳤다.]
안전한 대한민국을 약속했지만,
한국 사회는 이태원 참사와
제주항공 사고 같은 대형 참사를 마주했습니다.
(CG) 올해 조사에서 우리 국민의 44%는
'대형 사회재난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고 답했습니다.
'안전하다'는 응답은 17%에 불과해,
2021년 조사 때보다 무려 26% p나
떨어졌습니다. //
[정예영/ 전주시 완산구]
참사 같은 거 생기면 많은 희생자들이
희생되니까 되게 안타깝고, 그래서 안전에 관련된 법이 조금 더 만들어졌으면
좋겠어요.]
세월호 참사 당시 고등학생들이
이제 스물여덟 청년으로 성장할 만큼
시간이 흘렀습니다.
그러나 국민의 안전권을 명시하고
정부의 책임을 규정한 생명안전기본법은
아직도 국회에 머물러 있습니다.
JTV NEWS 강훈입니다.
(JTV 전주방송)
퍼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