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HOME > NEWS > 전체

전체

세월호 참사 11주기... 갈 길 먼 '안전사회'

2025.04.16 20:30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오늘로 꼭
11년이 됐습니다.

도내에서도 희생자를 추모하고
안전한 사회를 다짐하는 행사가 열렸는데요

참석자들은 세월호 참사의
책임자 처벌과 생명안전 기본법 제정을
촉구했습니다.

강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304명의 시간이 멈춘 지 벌써 11년,
날씨는 그날처럼 화창합니다.

2014년 4월 16일을 여전히 마음에
담고 있는 시민들은 분향소를 찾아
추모의 마음을 전해봅니다.

[조연구 / 광주광역시 광산구:
그때 이제 세월호 촛불 집회도 참석하고
했었거든요. 그래서 오늘 또 이날을
맞이해서 잠깐 들러서 잠시나마 분향을
좀 했습니다.]

[현장음: 세월호 관련 모든 정보를
공개하라! 공개하라! 공개하라!]

10년 넘게 풍남문에서 분향소를
지켜온 이들은 여전히 진상규명이라는
숙제가 남아있다고 말합니다.

(CG) 지난해 11월 목포해양심판원은
과적과 무리한 선박 개조로 인해 세월호가 침몰했고, 선원들이 적극적인 구조 조치를 하지 않아 피해가 더 커졌다고
판단했습니다.//

시민단체들은 사고 당일
박근혜 전 대통령의 7시간의 행적은 여전히 의문으로 남았고, 관련자 처벌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비판합니다.

[김재호 / 민족문제연구소 전북지부장:
지난 11년은 대통령을 위시한
정부와 정치권, 검사와 경찰 누구 하나
먼저 자신의 책임이라고 고백하지 않았으며
책임 회피에만 발버둥쳤다.]

안전한 대한민국을 약속했지만,
한국 사회는 이태원 참사와
제주항공 사고 같은 대형 참사를 마주했습니다.

(CG) 올해 조사에서 우리 국민의 44%는
'대형 사회재난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고 답했습니다.

'안전하다'는 응답은 17%에 불과해,
2021년 조사 때보다 무려 26% p나
떨어졌습니다. //

[정예영/ 전주시 완산구]
참사 같은 거 생기면 많은 희생자들이
희생되니까 되게 안타깝고, 그래서 안전에 관련된 법이 조금 더 만들어졌으면
좋겠어요.]

세월호 참사 당시 고등학생들이
이제 스물여덟 청년으로 성장할 만큼
시간이 흘렀습니다.

그러나 국민의 안전권을 명시하고
정부의 책임을 규정한 생명안전기본법은
아직도 국회에 머물러 있습니다.
JTV NEWS 강훈입니다.
(JTV 전주방송)
퍼가기
강훈 기자 (hunk@jtv.co.kr)

공지사항